일상 꿀팁

조주기능사 독학 후기 : 실기 독학 합격 (93점 / 학원 x)

엘라의 일상 2022. 12. 20. 12:30

안녕하세요 꿀팁 나누는 엘라입니다.

 

지난번 조주기능사 필기 독학 후기에 이어 이번에는 실기 독학 합격 후기를 가지고 왔습니다. 필기는 문제은행 방식이라 기출문제를 몇회차 풀어보면 되지만 실기는 외워야 하는 레시피가 많고 혼자 연습하기가 힘들어서 학원을 다니거나 시험일에 맞춰서 특강을 듣는 분들이 많은 것 같습니다. 저도 집에서는 연습하기가 힘들어서 특강을 들어볼까하다가 시간도 없고 금액이 만만치 않아서 혼자서 독학을 했습니다. 레시피 카드 만드는데 하루, 외우는데 이틀, 총 3일정도 공부해서 시험보고 합격한 후기입니다.

 

목차는 아래와같습니다.

 

1. 조주기능사 실기 개요

2. 조주기능사 실기 독학방법

 1) 나만의 레시피카드 만들고 외우기

 2) 주류 브랜드 익히기

 3) 실전처럼 이미지 트레이닝

 

 

 

조주기능사 필기 독학 후기 : https://honeyella.tistory.com/2

 

 

1. 조주기능사 실기 개요

조주기능사 실기 시험은 한국산업인력공단 큐넷 홈페이지에 공개된 칵테일 39종의 레시피를 다 외운 뒤 시험장에서 랜덤으로 출제되는 칵테일 3종을 감독관 앞에서 시간 내에 만들어 내는 시험입니다.

 

- 칵테일 종류 : 총 39종

- 준비시간 : 2분

- 시험시간 : 7분

- 만들어야 하는 레시피 수 : 3종

 

레시피는 한국산업인력공단 큐넷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포스팅 맨 아래 첨부하였음) 총 39가지 칵테일 레시피를 다 외운 뒤 감독관들 앞에서 만들어내야 하는데, 시험이 시작되면 긴장해서 손을 떨거나 레시피를 까먹을 수 있으니 옆에서 툭! 치면 레시피가 주르륵! 나올 정도로 레시피를 완벽하게 외우고 가야 합니다.

 

제가 응시한 22년도 4회차 조주기능사와 내년도(23년) 시험에서는 시험범위가 총 39종인데 2024년부터는 레시피가 한가지 늘어서 총 40개의 칵테일 레시피를 외워야 한다고 합니다. 기왕이면 23년도에 응시해서 합격하는게 좋겠네요.

 

 

한국산업인력공단 큐넷 홈페이지에 공개되어있는 조주기능사 실기시험문제입니다. 저는 1번부터 순서대로 외웠는데 그래서인지 뒤쪽에 있는 전통주 칵테일이 너무 안외줘져서 머리가 아팠습니다...  다행히 제가 시험볼 땐 전통주 칵테일이 안나왔습니다.

 

 

2. 조주기능사 실기 독학 방법

1) 나만의 레시피카드 만들고 외우기 (책이 있다면 책에 있는 레시피카드)

저는 필기시험 독학 후기에서도 언급했듯이, 교재도 구입하지 않고 혼자 공부했습니다. 교재를 샀으면 그 안에 실기시험 레시피 카드가 있었을텐데ㅎㅎ 레시피 카드가 있다하더라도 제 취향에 맞게 다시 만들게 될 것 같아서 저는 그냥 처음부터 제가 편한 방식으로 만들었습니다! 아래 이미지는 큐넷에 공개되어 있는 표준레피시 표인데, 다 텍스트로만 되어 있기 때문에 이거 보고 외우기는 좀 힘듭니다. 어떤 칵테일 잔인지도 모르겠고, 완성된 색깔이 뭔지도 모르겠고.... 완성된 칵테일 사진이 있어야 다 만들고 나서 제대로 만들었는지 확인이 쉽고 가니쉬도 외우기 편하기 때문에 꼭 완성된 사진을 같이 보면서 외우기를 추천합니다.

 

 

아래 이미지가 제가 따로 만든 레시피 카드입니다. 완성된 칵테일 사진은 인터넷에 돌아다니는 사진을 사용한거라 공유는 힘들듯 합니다... 외울 땐 칵테일명(영어이름)부터 제조방법, 잔 종류, 기주(베이스가 되는 술), 기타 리큐르들의 종류와 양, 마지막 가니쉬까지 전부 달달 외워야 합니다. 저는 작게 카드를 만들어서 한장씩 넘기면서 외웠습니다.

 

 

2) 주류 브랜드 익히기

레시피를 달달 외우고 난 뒤 실제 시험장에서 쓰이는 주류 브랜드들과 기타 부재료들의 실제 이미지를 찾아보면서 눈에 익히는 연습을 했습니다. 가령 "올드패션드" 칵테일에 "버번위스키"가 들어가는건 외웠는데, 정작 시험장에서 버번위스키를 못찾는다면 낭패지요.... 시험장에는 주로 저렴한 술 위주로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자주 등장하는 브랜드들 위주로 실물로 봤을 때 구분할 수 있을 정도로 눈에 익혀두었습니다. 어차피 술병 보면 이름 밑에 어떤 술인지 (영어로) 써있기 때문에 보면 알수있긴 합니다. 

 

버번 위스키 - 짐빔

스카치 위스키 - 서에드워드, 페이머스 그라우스, 벨

드라이 진 - 고든스, 탱커레이

등등등

 

그 외에 드람부이, 앙고스투라 비터, 그레나딘 시럽 이런 것들은 한번도 본적이 없어서 사진으로 대략 어떻게 생긴 애들인지 찾아보고 갔습니다. 저는 아래 이미지들처럼 아예 술 브랜드를 매칭하면서 레시피카드를 만들었습니다.

 

 

 

3) 실전처럼 이미지 트레이닝

레시피를 다 외우고 난 뒤에는 실전처럼 이미지 트레이닝을 했습니다. 집에 주류와 기물이 다 있다면 실제로 연습해보겠지만, 저 다양한 종류의 술과 부재료들, 잔, 가니쉬까지 준비하기는 힘들겠죠... 그래서 랜덤으로 음료 3가지를 뽑은다음에 시험장에서 만들어보는것처럼 똑같이 머릿속으로 연습을 했습니다. 가령 랜덤으로 피나콜라다, 그래스호퍼, 올드패션드 이렇게 세 종류를 뽑았다면? 머릿속으로 열심히 상상을 합니다ㅎㅎㅎ 먼저 손을 씻고!!(중요!!), 잔을 세가지(필스너잔, 샴페인 소서잔, 올드패션잔) 고르고, 칠링용 얼음은 어느 잔에 넣지? 만드는 순서는? 첫번째로 들어갈 재료는? 그 다음엔? 가니쉬는? 이렇게 실제처럼 주르륵 생각을 하고 잔에 담는거를 똑같이 머릿속으로 해봤습니다.

 

 

위의 세가지가 제가 시험볼 때 실제로 나왔던 기출문제입니다. 사람마다 잘 외워지는 레시피가 있고 잘 안외워지는게 있는데, 다행히 저한테는 쉬운 문제들이어서 무난하게 만들고 나왔습니다. 전통주 칵테일이 안나오기를 속으로 바랬었거든요ㅎㅎㅎ 실제 시험장 후기와 실기시험 후기까지 쓰려니 양이 너무 많아져서 시험장 후기와 주의사항은 다음 세번째 포스팅으로 이어서 작성하겠습니다.

 

 

아래 pdf 파일은 큐넷 홈페이지에 나와있는 2023년 조주기능사 실기시험 공식 레시피와 안내문입니다. 레시피 외우기 전에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2. 2023년 조주기능사 실기시험 변경 내역 (큐넷 공지용).pdf
0.18MB
3. 2023년 조주기능사 실기시험 공개문제.pdf
0.34MB
4. 2023년 조주기능사 실기시험 표준 레시피.pdf
0.88MB